티스토리 뷰
반응형
공인인증서가 익숙하신 분들은 도대체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범용인증서가 어떤 차이인지, 쓰임새는 어떻게 다른지 헷갈리실 거예요. 현재는 공동인증서로 바뀌었지만, 사람들끼리는 아직도 공인인증서라고 해야 알아듣곤 하는데요, 그래서 표로 비교 정리해 봤습니다. 다음 표를 참고하시어 인증서 발급받을 때, 사용할 때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공인인증서,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범용인증서 차이 비교
구분 |
개념 및 특징 |
사용처 |
비용 |
---|---|---|---|
공인인증서 | 기존 본인 인증용 전자서명 인증서, 현재 공동인증서로 변경 | 인터넷뱅킹, 정부 민원 서비스, 전자상거래 | 은행용 무료, 범용 4,400원 |
공동인증서 | 공인인증서의 새로운 명칭, 기존 방식과 동일 | 인터넷뱅킹, 증권거래, 공공기관 서비스 | 은행용 무료, 범용 4,400원 |
금융인증서 | 금융결제원이 제공하는 간편한 인증서, 클라우드 저장 가능 | 인터넷뱅킹, 금융거래 | 무료 |
범용인증서 | 금융 외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인증서 | 모든 금융거래, 전자세금계산서, 온라인 계약 | 4,400원 |
공인인증서,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범용인증서 차이 비교
위 와 같이 공인인증서,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범용인증서의 차이를 비교하여 보여드렸습니다. 소중한 개인정보 관리 잘 하셔서 안전한 금융거래 되시기 바랍니다.
신한은행 인터넷뱅킹 공인인증서 발급 재발급 방법
인터넷뱅킹을 이용하려면 공인인증서가 필수입니다. 신한은행을 주거래 은행으로 사용 중이라면, 계좌 이체 및 금융거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공인인증서를 발급해야 합니다. 하지만 절차를
wisechoices44.marie-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