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응급상황은 예고 없이 찾아옵니다. 혼자 있을 때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이 발생하거나, 특히 어르신, 만성질환자, 장애인이라면 더 빠른 응급대응이 필요할 텐데요, 하지만 위급한 순간,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설명하기 어렵거나, 보호자와 연락이 닿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를 대비해 119안심콜 서비스에 미리 가입해 건강 정보와 보호자 연락처를 등록해 두면, 119 신고 시 자동으로 전달되어 구급대원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처치를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119안심콜 서비스 가입 방법 및 대상, 이용 방법에 대해 빠르게 알아보겠습니다.

 

119안심콜 서비스 가입 방법 및 대상, 이용 방법
119안심콜 서비스 가입 방법 및 대상, 이용 방법

 

119안심콜 서비스란

 

 

 

119안심콜 서비스는 응급상황에서 미리 등록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구급대원이 맞춤형 응급처치신속한 이송을 돕는 서비스입니다. 예를 들어, 평소 기저질환이 있는 어르신이나 장애인, 만성질환자가 119에 신고하면, 등록된 의료 정보를 바탕으로 보다 신속한 응급처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요 서비스 내용

 

 

  • 신고 시 미리 등록한 개인정보(병력, 복용 약물 등) 자동 제공
  • 응급상황 발생 시 구급대원의 맞춤형 응급처치 지원
  • 보호자 연락망 등록을 통한 신속한 보호자 연락
  • 홀로 사는 어르신 및 장애인 등 응급 구조 우선 지원

119안심콜 서비스 가입 방법 및 대상, 이용 방법
119안심콜 서비스 가입 방법 및 대상, 이용 방법

 

가입 대상

 

 

  • 어르신 (고령자): 만 65세 이상, 홀로 거주하는 분
  • 중증 질환자: 심장병, 당뇨, 뇌졸중 등 만성질환 보유자
  • 장애인: 거동이 불편하거나 응급상황 시 도움이 필요한 분
  • 임산부: 갑작스러운 응급상황을 대비하고 싶은 분
  • 어린이: 보호자가 빠르게 연락받을 수 있도록 등록 가능
  • 기타: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처리가 필요한 모든 분

 

119안심콜 서비스 가입 방법 및 대상, 이용 방법
119안심콜 서비스 가입 방법 및 대상, 이용 방법

 

가입 방법

 

1. 온라인 신청 방법

  1. 119안전신고센터 홈페이지 접속
  2. '119안심콜 서비스' 메뉴 클릭
  3. 개인정보 입력 (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
  4. 병력, 복용 중인 약물, 보호자 정보 등록
  5. 등록 완료 후 승인 대기 (보통 1~2일 소요)

 

 

2. 오프라인 신청 방법

가까운 소방서를 방문하여 신분증병력 관련 서류를 제출하면 등록 가능합니다.

 

 

119안심콜 서비스 이용 방법

 

 

  • 등록된 전화번호로 119 신고
  • 보호자 연락망이 설정되어 있다면 자동으로 보호자에게 연락
  • 응급상황 발생 시 "119안심콜 등록자입니다"라고 말하면 더욱 빠른 대응 가능

 

연로하신 부모님, 임산부, 장애인 등 아픈 가족이 계시다면 꼭 119안심콜 서비스에 가입하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응급상황 발생 시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것이 생명을 살리는 길입니다. 가입 대상이 아니더라도 가족, 지인을 위해 추천이 가능하다고 하니 주변에 119안심콜 서비스가 꼭 필요하다고 판단되시는 분들께는 꼭 추천해 주셔서 소중한 생명을 함께 지켜 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