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상에서 자주 마주치는 단어 중 헷갈리는 표현이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경신(更新)’과 ‘갱신(更新)’입니다. 두 단어 모두 ‘새롭게 바꾸는 것’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쓰이는 맥락과 뉘앙스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1. 경신(更新)의 뜻 – 기록이나 수치를 새롭게 바꾸는 것
‘경신’은 기존의 수치나 기록을 깨고 더 나은 성과를 새롭게 세울 때 사용합니다. 주로 기록 경신이라는 표현으로 익숙하죠.
- 예: 마라톤 세계 신기록을 경신하다
- 예: 최고 매출 기록을 경신했다
즉, 경신은 기존을 뛰어넘어 더 나은 것으로 바꾸는 행위를 뜻합니다. 이때의 변화는 '기록적인 변화'에 가깝죠.
2. 갱신(更新)의 뜻 – 기간이나 효력을 연장하거나 새로이 바꾸는 것
‘갱신’은 기존의 계약, 자격, 상태 등을 유효기간이 끝나기 전이나 후에 다시 연장하거나 새롭게 만드는 행위를 말합니다. 일상에서는 보험, 계약, 면허 등에서 자주 쓰입니다.
- 예: 운전면허증 갱신
- 예: 보험 계약을 갱신하다
즉, 갱신은 기존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시 효력을 부여하는 행위로, ‘지속’과 ‘연장’의 개념에 가깝습니다.
3. 경신과 갱신의 차이, 이렇게 기억하세요
구분 | 경신 (更新) | 갱신 (更新) |
---|---|---|
의미 | 기록을 새롭게 세우는 것 | 기간이나 효력을 다시 연장하는 것 |
주요 용례 | 기록 경신, 최고 기록 경신 | 계약 갱신, 면허 갱신, 보험 갱신 |
의미상 방향 | 과거보다 더 나은 방향 | 기존 상태의 유지 또는 연장 |
4. 경신과 갱신, 헷갈릴 수밖에 없는 이유
두 단어는 모두 '새롭게 한다'는 뜻을 가진 한자 ‘신(新)’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글로는 발음이 매우 비슷해 문맥을 통해 의미를 파악해야 하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한자 ‘경(更)’과 ‘갱(更)’의 의미를 떠올리면 차이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5. 실제 사례로 보는 경신 vs 갱신
- A기업은 올해 상반기 매출 1조 원을 달성하며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 제 휴대폰 요금제는 이번 달 말로 끝나기 때문에 다음 달부터 자동으로 갱신됩니다.
- 운동선수가 자신의 최고 점수를 넘어설 때는 ‘경신’, 자격증이 만료되어 다시 신청하는 것은 ‘갱신’입니다.
6. 마무리 – 이제부터 헷갈리지 마세요
‘경신’과 ‘갱신’은 단어의 형태와 발음은 유사하지만, 의미상 명확히 다른 단어입니다. 기록을 깨고 새로 쓰는 것은 ‘경신’, 기존 것을 유지하거나 연장하는 것은 ‘갱신’입니다.
앞으로 뉴스 기사나 공문, 계약서 등을 읽을 때 이 차이를 알고 보면 더 정확한 이해가 가능하겠죠. 헷갈릴 때는 이 글을 다시 참고해보세요!
대통령 연임제와 중임제 차이점 – 쉽게 정리한 개념 비교표
대통령 임기 제도 중 자주 혼동되는 개념이 바로 연임제와 중임제입니다. 한국 정치제도의 개헌 논의가 있을 때마다 등장하는 이 두 제도는 명확한 차이가 있으므로, 이번 글에서는 대통령 연임
wisechoices44.marie-y.com
'알쓸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통령 연임제와 중임제 차이점 – 쉽게 정리한 개념 비교표 (2) | 2025.05.22 |
---|